아카데미

ESG 개념정의

중소벤처기업은 왜 ESG를 해야 하는가?

기업 경영에 있어 매출, 이익과 같은 재무적 요소 외에 환경(E), 사회(S), 지배구조(G) 등의 비재무요소 고려가 선택이 아닌 필수 생존전략으로 대두
  • 공급망 실사시 ESG 반영으로 협력업체 선정에서 탈락 위험 증가
  • 소비자의 수준 향상, 결과지향에서 과정도 중요하게 생각하며 소비, 기업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소비자 불매운동 등 발생
  • 정부의 ESG 규제로 공공입찰 참여시 불이익 발생 우려
  • 투자자 및 금융기관도 ESG 우수 기업에 우선 투자와 자금 공급

ESG 경영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?

  • 고객사 : 협력업체 선정 탈락 / 공급망 실사 대응 미흡
  • 투자자 : 투자자 외면 / 자금조달 애로 발생
  • 정부기관 : ESG관련 인증 요구 / 공공입찰 참여 제한
  • 소비자 : 환경, 사회 고려한 소비 / 소비자 불매운동

고객사의 ESG 요구

ESG 경영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?

  • U의회는 인권 및 환경 이슈에 대한 기업 실사를 의무화하는 결의안을 채택, 2021년 내 기업실사 관련 입법안 공개 예정
  • 적절한 인권과 환경 전략을 갖추지 못한 기업은 도덕적 지탄을 넘어 법적 규제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에서 생존하기 힘든 시대 도래

국내 기업

  • 공급망 실사 진행
  • 현재 인권 이슈에 집중되어 있으나 점차 ESG 전분야로 확대
  • [ 예 ] 애플: 공급망 내 모든 협력업체에 대한 노동권, 인권, 건강, 환경보호 등 수칙 준수 요구
  • 공급망에 대한 요구수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계약해지 위험
  • 하도급사 선정과정에서 배제 위험

독일 공급망 실사법

2023년 1월 시행 예정인 독일의 ‘공급망 실사법'은 공급망 내 노동자 인권 함양을 위한 정책으로, 적용 대상 공급망에 속한 국내 기업은 인권 관련 의무사항 이행을 위한 전략수립 및 내부점검 프로세스 정비 필요
  • 독일 내 3,000명 이상 고용 기업은 자체 사업장 외 직·간접 공급업체 를 비롯한 공급망의 인권 및 환경 관련 사항을 실사하고 관련 내용 문서화 필요
  • 실사 항목 : 위험관리시스템, 내부 책임 소재, 정기적 위험 분석, 관련 원칙 선언, 예방 조치, 시정 조치, 불만 처리 절차, 간접 공급업체 실사, 문서화 및 보고 등의 체계

공급망 인권 실사 관련

  • 영국 : 현대판 노예 방지법(2015)
  • 프랑스 : 인권 실사의무에 관한 법(2017)
  •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: ‘책임있는 기업 행동을 위한 실천 지침’(2018)
  • 네덜란드 : 아동노동 실사법(2019)
  • EU : 공급망 실사 관련 통합법(준비단계)

소비자의 ESG 요구

가치소비 증가

  • 미래세대 소비 문화의 중심에는 기업 및 제품의 친환경·사회적 책임을 고려하는 가치소비가 자리잡아, ESG가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 키워드
  • 자신의 신념을 드러내는 미닝아웃(Meaning+Coming out) 소비를 지향 하는 MZ세대(밀레니얼+Z세대)에게는 ESG가 제품선택과 기업선호도 결정의 주요 요인

MZ세대 가치소비 설문조사

나는 가치소비자다
아니다 21%
그렇다 79%
ESG 활동 중 관심 분야
사회적 가치 29%
환경 65%

출처 : 성장관리 앱 그로우
설문대상 : MZ세대 928명 (단위: %)

정부기관의 ESG 요구

친환경·포용·공정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ESG 인프라 확충

  • 우리 정부는 ESG 경영확산 및 ESG 투자활성화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확충 예정
  • 2021년 8월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는 “친환경·포용·공정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ESG 인프라 확충방안”을 발표, 국내 기업의 ESG 경영 확산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통합 인프라 구축 선언

ESG 경영확산

  • ESG 경영 공시 활성화 : K-ESG 가이드라인 마련, 코스피 상장기업 ESG공시의무화, 자율공시 확산
  • 중소중견기업 ESG 역량 강화 : 실태조사 및 자가진단 툴 마련, ESG 경영교육 컨설팅 강화, ESG 우수기업 인센티브 제공, 대-중소 벤처기업 협력강화
  • 공공기관의 ESG 경영선도 : 공공기관의 ESG 공시확대, ESG 실행계획수립 및 평가 강화

ESG 투자활성화

  • ESG 채권펀드 활성화 :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 확립, 사회적채권 가이드라인마련, ESG금융상품 다양화 등
  • 시장 자율규율체계 구축 : 민간 평가기관 가이던스 마련, 환경·사회적 가치 평가 툴 제공,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 및 도입 확산
  • 공공부문의 ESG 투자활성화 : 연기금 ESG 투자활성화, 정책금융기관 ESG 금융 활성화

투자자의 ESG 요구

책임투자 확대

  • ESG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함께 국내외 기관투자자의 책임투자 규모가 확대 되고 있으며, 시중은행도 ESG 경영에 따라 금리인하 등의 혜택 제공
  • 글로벌 연기금, 국부펀드는 담배, 술, 도박 등 ESG 측면에서 결격사유가 있는 기업에 투자를 철회하는 등 책임투자 원칙을 수립, 책임투자 촉구

※ 자료 출처 : 중소기업벤처기업진흥공단 K-DOCTOR